맨위로가기

주 (춘추 전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邾)는 주 무왕 때 조협이 현재 산둥성 추성시 지역에 봉해지면서 시작된 제후국이다. 조협은 하나라 때 주허에 봉해진 안안의 후손이다. 주나라는 춘추 시대와 전국 시대를 거치며 존재했으며, 노 목공 시대에 추(鄒)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전국 시대에는 맹자가 추나라에서 태어났으며, 기원전 369년부터 기원전 340년 사이에 초나라에 병합되어 멸망했다. 주나라는 유학 국가로서의 면모도 지녔으며, 맹자와 공자의 출생지 또는 조상의 뿌리를 둔 곳으로 유교 문화와 관련이 깊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국 시대 - 전제 (전국)
    전제는 진나라에서 망명한 전완을 시조로, 기원전 386년 제나라를 찬탈하여 건국되었으며, 효율적인 정치와 인재 등용으로 강성했으나 민왕 이후 쇠퇴하여 기원전 221년 진나라에 멸망한 국가이다.
  • 전국 시대 - 중산국
    중산국은 기원전 414년부터 기원전 296년까지 현재 허베이성 중부 지역에 존재했던 고대 국가로, 백적의 일파인 선우부가 건국했으며, 전국시대에 뛰어난 외교술로 존속하다 조나라에 멸망하고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다.
  • 춘추 시대 - 와신상담
    와신상담은 오나라와 월나라의 대립에서 유래하여 복수를 위해 고난을 감내하며 노력하는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 춘추 시대 - 소 (기성)
    소(蘇)씨는 중국 성씨로, 주나라 시대 소분생을 시조로 하며 춘추시대 자퇴의 난과 온나라 멸망과 관련된 사건이 있었다.
  • 중국사 - 순치
    순치는 청나라 세조 순치제의 연호로, 1644년 명나라 멸망 후 베이징 천도와 함께 사용되어 1661년까지 지속되었으며, 당시 다양한 세력의 연호와 병존했다.
  • 중국사 - 광서제
    광서제는 도광제의 손자이자 순친왕 혁현의 아들로, 1875년 청나라의 황제가 되었으며, 서태후의 섭정 아래 무술변법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유폐된 채 사망했다.
주 (춘추 전국)
개요
국명 (한자)
국명 (병음)Zhū
국명 (한국어 음독)
국명 (다른 표기)邾婁 (Zhūlóu, 주루)
小邾 (Xiǎo Zhū, 샤오주)
小邾婁 (Xiǎo Zhūlóu, 샤오주루)
역사
건국 시기기원전 11세기
건국자조협(曹挾)
멸망 시기기원전 350년경
멸망 원인초나라(楚)에 의한 멸망
정치
정치 체제자작(子爵)
수도주(邾) (산둥성취푸 시)
역(繹) (산둥성쩌우청 시)
분봉자무왕(武王)
희왕(僖王)
기타
국성조성(曹姓), 주씨(朱氏)
사서 기록춘추좌씨전
춘추공양전(노나라(魯) 소공 31년)

2. 역사

주(邾)나라는 주나라 무왕 때 조협(曹挾)이 현재의 산동성 추성시 지역에 봉해지면서 시작된 제후국이다.[1] 초기에는 노나라의 제후국으로 시작하였으며[2][3][4], 지배 가문의 성씨는 (曹)였다.[1]

주나라를 포함한 주나라 시대 국가들의 지도


춘추 시대를 거쳐 전국시대에는 국명이 추(鄒)나라로 변경되었으며[5], 이 시기에 유교의 중요한 인물인 맹자(孟子)가 태어났다. 추나라는 기원전 369년에서 기원전 340년경 초나라 선왕 재위 기간에 정복되어 멸망하였다.[6] 나라가 멸망한 뒤, 그 후손들은 주(朱) 또는 추(鄒)를 성씨로 삼았다고 전해진다.[3][6] 유명한 주희 역시 이 통치 가문의 후손으로 알려져 있다.

2. 1. 건국 초기

주나라 무왕은 황제의 자손으로 알려진 조협(曹挾)을 현재의 산동성 추성시 지역에 봉하여 주(邾)나라를 세우게 했다.[1] 조협의 선조는 육종(陸終)의 다섯 번째 아들인 안안(晏安)으로, 하나라 때 주허(邾墟)에 봉해졌다고 전해진다. 주는 노나라의 제후국이었으며, 초기 작위자작(子)이었으나 나중에는 주공(邾公)으로도 불렸다.[2][3][4] 지배 가문의 성씨는 (曹)였고, 수도는 주(邾) 또는 역(繹)으로, 현재의 산둥성 추저우시에 해당한다.[6]

2. 2. 춘추 시대

주나라 무왕 때 황제의 자손으로 알려진 조협(曹挾)이 현재의 산동성 추저우시 지역인 주(邾)에 봉해지면서 주(邾)나라가 시작되었다. 역대 군주의 작위자작이었으며, 수도는 주(邾) 또는 역(繹)이었다. 주(邾)나라는 춘추 시대 동안 주변 강대국들의 영향을 받는 작은 제후국으로 존재했다.

2. 3. 전국 시대와 멸망

전국시대에 들어 주(邾)나라는 국명을 추(鄒)나라로 변경하였다. 이 추나라는 유학(儒學)의 중요한 인물인 맹자(孟子)가 태어난 곳이기도 하다. 그러나 국력이 강하지 못하여 주변 강대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결국 기원전 369년과 기원전 340년 사이 초나라 선왕(宣王) 재위 기간에 정복되어 초나라에 병합되며 멸망하였다.[6] 나라가 멸망한 뒤 추나라 백성들과 그 후손들은 주(朱) 또는 추(鄒)를 성씨로 삼았다고 전해진다.[3][6]

3. 문화와 유산

주나라는 후대에 여러 문화적 유산을 남겼다. 현대 중국의 성씨 중 (朱)와 (鄒)는 주나라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鄒)씨는 주나라의 옛 이름에서 파생되었다.

또한 주나라는 유교 사상의 발전과도 연관이 깊다. 송나라의 저명한 성리학주희는 주나라 통치 가문의 후예로 전해진다. 주나라 계통의 작은 나라인 추나라는 중국 철학사에서 중요한 인물인 맹자의 출생지로 유명하다. 인근 노나라공자의 고향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유교의 주요 사상가들이 주나라 및 관련 국가들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3. 1. 유교 문화

현대 중국에서 가장 흔한 성씨 중 하나인 (朱)와는 별개로, 주나라의 옛 이름에서 파생된 (鄒/邹)라는 성씨도 있다. 이 성씨를 사용하는 작은 나라인 추나라는 중국 철학자 맹자의 출생지로 가장 유명하다. 한편, 노나라공자와 그의 많은 제자들의 고향이었다. 이는 유교의 창시자인 공자와 그의 주요 사상 계승자인 맹자가 이 두 고대 국가, 즉 노나라와 추나라에서 태어났거나 조상의 뿌리를 두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3. 2. 성씨

초나라 선왕 (기원전 369년~기원전 340년 재위) 시기에 주나라는 추나라에게 정복되어 병합되었다.[6] 이때 추나라에 흡수된 주나라 백성들과 그 후손들은 주 (朱) 또는 를 성씨로 삼게 되었다.[3][6]

주 (朱) 성씨는 현대 중국에서 가장 흔한 성씨 중 하나이다. 또 다른 성씨인 (鄒/邹)는 주나라의 옛 이름에서 파생되었으나, 주(朱)씨에 비해 덜 흔하다.

유명한 성리학주희는 주나라 통치 가문의 후예이다. 또한, 주나라는 중국 철학자 맹자의 출생지로도 잘 알려져 있다. 노나라공자와 그의 많은 제자들의 고향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유교의 창시자와 주요 사상가들이 이 두 고대 국가에서 태어났거나 조상의 뿌리를 두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삼국지』에 인용된 왕침의 『위서』에는 전한조참과 그의 후손인 조조가 주나라의 후예라는 기록이 있으나, 이 기록의 신빙성은 낮게 평가된다.

3. 3. 역사적 기록

주나라와 관련된 성씨로는 (朱)와 (鄒)가 있다. 주(朱)씨는 현대 중국에서 흔한 성씨 중 하나이며, 추(鄒)씨는 주나라의 옛 이름에서 유래했다. 송나라의 유명한 학자 주희는 주나라 통치 가문의 후예로 알려져 있다.

주나라의 제후국이었던 추나라는 중국의 주요 철학자 중 한 명인 맹자의 출생지로 유명하다. 또한 노나라공자와 그의 많은 제자들이 활동했던 곳이다. 이는 유교의 창시자인 공자와 그의 사상을 계승한 주요 현자인 맹자가 모두 주나라 시대의 국가들과 깊은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서진의 왕침이 저술한 『위서』(『삼국지』에 인용됨)에는 전한의 개국공신 조참이 주나라의 후예이며, 그의 후손으로 삼국시대 조조가 있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이 기록의 신빙성은 낮게 평가된다.

주나라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참고할 수 있는 주요 고대 문헌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4. 역대 군주

주(邾)와 추(鄒)의 역대 군주에 대한 자세한 목록은 아래 주(邾) 시대 군주 및 추(鄒) 시대 군주 섹션을 참조하라.

4. 1. 주(邾)



주 무왕조협(曹挾)에게 소규모 국가인 주(邾)를 노나라의 제후국으로서 다스리도록 하였다. 초기에 받은 작위는 자작(子)이었으나, 후대에는 주공(邾公)으로도 불렸다.[2][3][4] 주나라 지배 가문의 성씨는 (曹)였다.[1]

노 목공 (재위 기원전 417년 ~ 기원전 377년) 통치 시기에 주의 국호는 추(鄒)로 변경되었다.[5] 추나라는 현재의 산둥성 남서부 지역에 위치했으며,[6] 그 영토는 오늘날의 추성시에 해당한다.

=== 역대 군주 ===

대수시호재위비고
1대(挾)주 무왕이 봉함
2대비(非)
3대성(成)
4대거보(車輔)
5대장신(將新)
6대자보(訾父)
7대무공(武公)이보(夷甫)? ~ 기원전 796년
8대숙술(叔術)기원전 795년 ~ 기원전 781년
9대하보(夏父)기원전 780년 ~ ?
10대 불명
11대안공(安公)극(克)? ~ 기원전 678년
12대헌공(憲公)쇄(瑣)기원전 677년 ~ 기원전 666년
13대문공(文公)거저(籧篨)기원전 665년 ~ 기원전 615년
14대정공(定公)확저(貜且)기원전 614년 ~ 기원전 573년
15대선공(宣公)경(牼)기원전 572년 ~ 기원전 556년
16대도공(悼公)화(華)기원전 555년 ~ 기원전 541년
17대장공(莊公)천(穿)기원전 540년 ~ 기원전 507년
18대은공(隱公)익(益)기원전 506년 ~ 기원전 487년
19대환공(桓公)혁(革)기원전 487년 ~ 기원전 473년
복위은공(隱公)익(益)기원전 473년 ~ 기원전 471년
20대(何)기원전 471년 ~ ?
21대 불명
22대누고공(婁考公)은공의 증손
이후 불명


4. 2. 추(鄒)



추(鄒)는 원래 주(邾)라는 이름의 고대 중국 국가였다. 주 무왕조(曹)씨인 조협(曹挾)에게 주(邾)를 봉토로 주어 다스리게 했다.[1] 주(邾)는 노나라의 제후국이었으며, 초기에는 자작(子)의 작위를 받았으나 나중에는 주공(邾公)으로 불렸다.[2][3][4]

노 목공 (기원전 417년 – 기원전 377년)의 통치 기간 동안 국명을 주(邾)에서 추(鄒)로 변경하였다.[5] 추나라는 현대 산둥성 남서부에 위치했으며,[6] 그 영토는 현재의 추성시에 해당한다.

대수시호재위 기간비고
1대조협 (曹挾)무왕 원년 ~ ?
2대조비 (曹非)?
3대조성 (曹成)?
4대조거보 (曹車輔)?
5대조장신 (曹將新)?
6대조자부 (曹子父)?
7대무공 (武公)안 (顏), 이부 (夷父)? ~ 기원전 796년
8대조숙술 (曹叔術)기원전 795년 ~ 기원전 781년
9대조하부 (曹夏父)기원전 780년 ~ ?
10대조괄 (曹鴰)?
11대안공 (安公)극 (克), 의부 (儀父)? ~ 기원전 678년
12대헌공 (憲公)쇄 (瑣)기원전 677년 ~ 기원전 666년
13대문공 (文公)거저 (蘧蒢)기원전 665년 ~ 기원전 615년
14대정공 (定公)확저 (玃且)기원전 614년 ~ 기원전 573년
15대선공 (宣公)경 (綅)기원전 572년 ~ 기원전 556년
16대도공 (悼公)화 (華)기원전 555년 ~ 기원전 541년
17대장공 (莊公)천 (穿)기원전 540년 ~ 기원전 507년
18대은공 (隱公)익 (益)기원전 506년 ~ 기원전 487년
기원전 473년 ~ 기원전 471년
복위
19대환공 (桓公)혁 (革)기원전 486년 ~ 기원전 473년
20대조하 (曹何)기원전 471년 ~ ?
21대공공 (共公)우 (盂)?
22대고공 (考公)량 (良)?
?목공 (穆公)?고공 이후 군주로 추정되나 상세 불명


참조

[1] 서적 ''Eastern Zhou and Qin Civilizations Yale University Press
[2] 서적 The Formation of the Chinese People Russell & Russell
[3] 서적 Your Chinese Roots https://archive.org/[...] Times Books International
[4] 서적 The Chinese Heritage https://archive.org/[...] Crown Publishers, Inc.
[5] 간행물 The background of the Kong family of Lu and the origins Ruism https://www.jstor.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6] 서적 In Search of Your Asian Roots: Genealogical Research on Chinese Surnames Clearfield
[7] 웹사이트 wiktionary英語版 https://en.wiktionar[...]
[8] 문서 代は趙の亡命政権であり、秦に滅ぼされ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